-
“마각이 드러나다”라는 말은 숨기고 있던 일이나, 본래의 정체가 자신도 모르게,또는 뜻하지 않게 드러나는 일을 가리킨다.‘露马脚(lou ma jiao)로우 마 지아오(말의 발이 드러나다)’의 일차 직역은 ‘말의 발이 드러나다’이지만, 여기서 马는 동물 말이 아닌, 성씨 중에 马씨를 가리킨다.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의 부인이 바로 ‘큰 발의 황후’로 불리는 马황후이다. 고대 중국은 전족으로 발이 작은 것을 미의 상징으로 여겼고, 큰 발은 천시되었다.그런데 황후의 발이 컸으니 당나귀 귀 임금님처럼 나름 숨기고 싶은 비밀이었을 것이다. 그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23.01.25 01:10
-
제비족은 긴 연미복을 입고 춤추는 모습이 날렵한 제비 모양 같아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 정설이다. 우리의 제비족, 꽃뱀 같은 표현이 중국에도 있을까?있다. 바로 ‘차이바이당(拆白党: chāi bái dǎng’이다. ‘차이바이당’은 상해의 방언으로, 남을 속이는 수단으로 재물을 갈취하는 망나니 집단 또는 사기 수단을 사용하는 나쁜 사람들을 의미한다.‘차이바이당’이라는 말은 20세기 20~40년대의 상해에서 나온 말인데, 그때 당시 상해 지역에서 남색을 이용해 무전취식 하거나, 여성의 재물과 몸을 사기 치는 청소년들을 일컬었다.후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23.01.04 08:28
-
1993년 한.중 수교 초기 중국을 처음 방문했을 때의 놀라움과 감흥은 과연 무엇이었을까?만리장성? 자금성? 황허, 많은 인구? 전부 아니다. 상하이 시내의 한 공원에서 석양이 깔리는 무렵에 아름답고 서정적인 러시아 민요의 선율에 맞춰 사교춤을 추고 있는 한 무리의 시민들을 발견했을 때다. 그때의 놀라움과 감흥을 지금도 기억한다.오늘도 중국에는 도시의 공원이나, 광장 등에서 성대한 대중 무도회가 아침, 저녁으로 열리고 있을 것이다. 우리와 함께 유교적 역사를 전통을 지닌 동아시아 국가로서, 더구나 사회주의 혁명을 거친 나라에, 퇴폐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22.12.30 09:17
-
"중국인은 알다가도 모르겠다"중국인을 묘사하는 우리의 표현 중에 아마도 가장 사용 빈도수가 높은 말일 것이다.중국인 이해의 핵심은'삐엔(?변)'에 있다.흔히 사용하는 '속인다' '엉큼하다' '종잡을 수 없다'는 표현은 중국인 특유의 '변화 기술'을 잘 파악하지 못했다는 고백에 불과하다.?'은 원래 실을 꼬아 다양한 문양을 만드는 일종의 섬유 디자이너의 모습이다. 중국인은 선명하다. 전혀 모호하지 않다. 섬유 디자이너는 다양한 문양을 만들어내겠지만, 섬유로 빵을 만들어내지는 못한다. 그것은 아무리 변해도 섬유다.중국인의 '삐엔'은 나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12.31 04:57
-
1993년쯤 홍콩발 기사로 산동대학 고고학 팀이 고대의 성벽을 발굴하다가 발견한 것으로 제법 크게 기사가 실렸다.산동성 '띵꽁(丁公정공)지역에서 발견된 이 고대문자는 곧'띵꽁문자'로 불리기 시작 했다 한다. '띵꽁문자'의 해독에는 세계적인 고대문자 전문가들이 총동원 되었다 한다.그러나 전문가들의 분석은 각기 달랐다. 가로7.6~4.6센티, 세로3.2센티, 두께0.35센티 사다리꼴 도자기 조각이었다. 그 위에는 11개의 고대문자가 신비를 간직한 채 새겨져 있었다 한다.그러나 현재의 중국인들이 사용하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11.22 21:57
-
동양인의 핏줄집착의 원조는 중국인들이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속담도 애석하게 우리 것이 아니고 사실은 중국속담이다. "血濃于水". 그러나 중국인의 핏줄 집착은 다분히 이중적이다. 중국인은 대외적으로는 혈통주위다.그러나 대내적으로는 혈연주의다. 혈통주의와 혈연주의는 다소 다르다. 통은 연에 비해 의미와 쓰임새가 다르다. 통은 포괄하는 범위가 넓고 정치적이다. 반면에 연은 끈으로 연결한 좁은 범주다.포괄하는 범위가 좁은 지역이나 친척 개념이 강하다. 중국인들의 혈족에 대한 생각이나 행동은 다분히 이중적이다. 통이 광역 핸드폰이라면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10.11 22:37
-
중국 곳곳의 암벽에는 어디를 가나 거의 부조로 된 불상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중북부 지역의 불상은 크고, 남부의 불상은 아기자기하다. 중북부 지역 불상은 평균 신장 10미터다. 반면에 남방의 불상은 거의 등신불이 많다. 특히 남서부 광시나 윈난의 불상들이 그렇다. 남북 사람들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는 모습이다.그런데 이 불상들을 자세히 보면 코와 입, 손발 언저리가 새까맣게 때로 절어 있거나, 떨어져 나갔다. 큰 것은 발가락, 작은 것은 머리통, 그것은 다름 아닌 손때다. 수백 수천 년을 너도나도 주물러대 생긴 중국인들의 구체적인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9.06 06:27
-
많은 한국 사람들이 중국여성을 말할 때 '센'이라는 형용사를 사용한다. 이는 호텔 앞에서 “가라오케 가자”고 달려드는 여성들 말고 일을 할 줄 아는 여성들을 접해본 한국 남자들 모두의 공통된 표현이다.반면에 한국에 이런 저런 이야기 하다가 한국 여성 이야기를 꺼내는 중국인들의 공통된 표현은 ‘타이 커리엔(太可憐)’이다. 이것이 한국에서 가장 인상 깊은 것 이란다.남편이 장보기와 주방 일을 도맡아 하는데 익숙한 중국여성들로는 도저히 납득 못할 일들이 한국에선 다반사다. 한국에서는 남자도 쭈뼛거리는 일을 중국 여성들은 주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8.12 21:15
-
"발언을 먼저 하는 사람도 없지만, 회의 끝나고 승복하는 사람도 없다." 중국인들과 회의를 하면서 얻은 경험적 격언이다.중국인들은 회의를 엄청 많이 한다. 사람을 만나거나 통화를 하려고 하면 흔히 듣는 대답이 '카이회이(開?)'다. 중국인들은 카이회이를 겉으로는 싫어한다. "웬 놈의 회의가 그리 많은지,"어쩌고 투덜대지만 사실 속으론 좋아한다. 일을 안 해도 되기 때문이다.중국인들의 회의는 시간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시간을 잡아먹기 위해 일종의 언어유희다. 공통의 이해가 마련한 휴식의 시간이다.대개 회의가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7.19 21:59
-
중국인은 말보다 글을 더 신뢰한다.말로 백마디 나누며 약속을 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헤이쯔 바이즈(黑字白?)'직역하면 흰 종이에 검은 글씨다.중국인들이'확실히 증거를 남깁시다'할 때 쓰는 표현이다.이것이 있어야 마음이 놓인다.그러나 그들은 함부로 붓을 들지 않는다.말은 풍성해도 글에는 더 없이 인색한 것이 중국인이다.중국인과 서류 서명을 할때는 시간을 넉넉히 주어야 한다.보고 보고 또 본다.중국인들은 유달리 글에 집착한다.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후 맨 먼저 한 일은 글씨를 통일하는 일이었다.진나라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7.19 21:55
-
설날인 '?年'을 전후한 중국인 가정에는 붉은색 화선지가 한 장씩 붙는다. 보통 사방30센티 정도의 종이에 '福'자나 '春'자를 크게 써서 마름모꼴로 붙인다. 그런데 붙인 모습은 거의 예외 없이 거꾸로다. 이럴 때 괜히 글씨를 거꾸로 붙었다고 아는 체하면 망신 당할 수 있다.일부로 거꾸로 붙인 것이다. 왜? 복이 쏟아지고 봄이 빨리 오라고, 또 중국어에서 '도착하다'와'거꾸로'는 모두 '따오'로 발음된다. 중국인들은 같은 발음이 만들어 내는 연상을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7.05 21:47
-
중국인은 두루뭉술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어리석지는 않다. 그들은 날카롭다. 솜 속에 바늘을 감추고 있다. 장식 없는 칼집에 칼날을 숨기고 있다. 칼날은 물론 돈과 관계된 부분에서 가장 예리하게 번득인다. 돈과 관련된 부분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할까?바로 숫자다. 1,2,3으로 휘두르는 칼날, 숫자와는 거리가 멀다고 느낀 중국인에게 숫자 놀음들, 여기에 많은 중국행 초보들이 만신창이가 되곤 한다. 중국인에 대한 선입관 때문에 그들이 숫자에 무딜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천만의 말씀이다.호두알만한 시커먼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5.25 00:32
-
중국을 다녀왔거나, 중국을 조금 아는 사람들의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것 같다. 하나는 ‘기죽는’형이다. "중국은 너무나 커. 사람 많고, 물자가 풍부하며, 문화유산이 도처에 깔려 있고(실제로 중국에서 만든 전국 명승지 지도를 보면 서쪽의 산악지대를 제외하곤 명승지 표시로 새까맣게 덮여 있다.)산수 또한 기가 막혀. 점잖고 배짱 있고, 무서운 나라야" 뭐 대충 이런 씩의 평가로 남에게 뭔가를 보여주고 싶은 사람들이 이런 분위기를 좋아한다.다른 하나는 ‘호들갑’형이다."야 중국 놈들 정말 지저분하더라. 진짜 때 놈이야.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4.29 22:21
-
뇌물없이 성사되는 비지니스가 중국에선 존재할수 있을까?법과 정의와 바른 역사라는 것은 형용사로 만들어진 허상?에 불구하다.인류사에 이러한 것들이 존재한 일은 없다.앞으로도 없을 것이다.차마 믿지 못하는 민초들의 마음 약함이 애처로울 뿐이다.떵샤오핑이 죽기 전에 이런 이야기를 했다한다."三合?에 나쁜사람만 있는건 아니다."흔히 중국판 마피아로 알고 있는'산허회이'를 옹호한 것처럼 느껴지는 말이다.'산허회이'는 天,地,人은 하나라는 철학으로 뭉쳐진 조직이다.중국에는 '회이(?)'나 빵(?)으로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4.11 22:33
-
중국인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거의 모든 장소에서 들을수 있는 말이 '형제 나라'이다.처음엔 이말이 별 거부감 없이 사용 했고,그냥 그대로 옮기곤 했다.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인들이 그안에 묘한 뉘앙스를 담고 있음이 느껴지면서 조금씩 거부감이 들기 시작했다.그래서 몇번의 기회가 있을때 개인적으로 중국친구들 에게 물어 보곤 했다."형제 나라 하는데,도대체 누가 형이야?" "형?뭘 그런걸 물어? "뭐 그냥 사이 좋다는 뜻이지" "그래 그래도 형제는 형 아우가 있게 마련이고,장유유서라고 하듯 형 아우는 구분하게 마련 이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3.23 00:01
-
중국인은 스킨쉽에 약하다.경제가 많이 변모해서 예전만 달라진건 잇지만 중국인들은 먼저 손을 내밀어 악수를 청하는 경우가 마니 드문편 이었다.?好?나 好久不?하면 그만이다.좀 나이가 젊을 경우는 그저 턱을 쳐들며 에이,니하오? 하면 그만이다.그런데 이 동작을 가만히 보면 중국인들은 고개를 숙여 인사하지 않는다.그저 눈길을 주며 턱을 상대하게 삐죽 올리는 행동을 한다.이동작이 처음에는 좀 기분나게 보일질 모르지만 악의가 잇는것은 아니다.어쩌다 외국물 좀 먹엇거나 외국손님 자주 접대해본 경우는 악수를 잘한다.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선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3.03 10:00
-
"빠오칭티엔". 포청천의 중국어다. 한때 오래전 한국에서도 인기절정이었던 이 연속극은 원래 타이완의 TV의 인기 물이었다. 빠오칭티엔 같은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정서가 우리들 마음속에도 깔려있다.그러나 실은 빠오칭티엔 같은 사람이 없는 사회가 정말 바람직한 사회이다. 사실 빠오칭티엔 같은 사람이 인기를 얻는 나라는 좋은 나라가 아니다.빠오칭티엔은 중국대륙에서는 주로 경극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그의 본명인 '빠오정' 또는 '빠오공'으로 불린다.그는 송나라 때 사람으로 안훼이 지역 출신이다. 안훼이는 중국 남중부에 위치해 있다. 역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2.13 22:27
-
중국인들은 스필버그 같다. 상상력에서 중국인들과 스필버그는 공통점이 있다. 한계가 없다는 점이다. 물론 차이는 있다. 스필버그의 상상력은 재미있다. 그러나 중국인의 상상력은 영 썰렁하고 황당무게하다. 스필버그의 상상력의 특징은 누구나 갖는 어릴 때의 꿈을 현대과학을 이용해 실현 시키는데 있다. 반면에 중국인들 상상력의 특징은 욕심 많은 통치계층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물과 사람을 이용한다는데 있다.인해전술. 백두산 문턱까지 갔다가 한반도를 통일하지 못한 결정적 원인은 중국의 인해전술 때문이었다. 아는 중국인 친구 할아버지 왈 “동북지역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특급뉴스
2019.02.13 22:18
-
"又?又?"~섬세하면서 아주 빨갛다. 한국여자들의 산뜻한 입술화장을 본 중국인들의 표현이다. 중국인들이 한국인에게 느낀 가장 강한 인상으로 의외로 한국여성들의 입술을 꼽는 이가 많다.밝고 선명한 붉은색으로 브라운관에 등장한 한국탤런트의 입술, 젊은 중국 여성들에게 개혁 개방이란 다름 아닌 칙칙한 색상으로부터의 탈출이기도한 때문이다. 중국인들의 의상이나 화장 등을 보면서 한국인들은 유달리 '촌스럽다'는 감정을 많이 갖게 된다.문화인류학적인 면에서 보면 각 문화권의 색채 표현은 거의 모두 신비주의 삶과 연관되어 있다. 그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2.13 22:14
-
중국은 법치가 불가능한 나라, 아니, 법치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나라다. 많은 중국 정치학자들이 인정하듯 중국은 진시황과 한나라 이후로 인치로 통치되고 있는 나라라고 한다.한나라 때의 쓰마치엔이 ‘사기"’를 쓰면서 ‘열전’이란 것을 첨 만들어 냈는데, 열전이란 다름 아닌 정치 인물의 역사이다, 그러니까 쓰마치엔은 “정치 인물을 들어 나라의 역사를 기술 하겠다”는 입장을 맨 처음 시도한 인물이다.그리고 이 방법은 연이어 중국의 역사, 나아가서는 동양의 역사를 기술하는 대표적인 기법이 됐다. 사람의 역사가 나라의 역사가 된다? 이를 뒤집
김종찬의 잼 있는 중국이야기
김종찬
2019.02.10 10:37